롤백4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롤백 예외가 발생했는데, 내부에서 예외를 처리 못 하고 트랜잭션 범위 밖으로 예외를 던지면 어떻게 될까? 예외 발생 시 스프링 트랜잭션 AOP는 예외 종류에 따라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한다. 언체크 예외인 RuntimeException, Error와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체크 예외인 Exception과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물론 정상 응답(리턴)하면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테스트 코드 @SpringBootTest public class RollbackTest { @Autowired RollbackService rollbackService; @Test void runtimeException() { assertThatThrownBy(() -> rollbackSe.. Tech/Spring 2024. 1. 3. SpringBootTest : 임베디드 모드 DB H2 데이터베이스는 자바로 개발되어 있고, JVM안에서 메모리 모드로 동작하는 특별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H2 데이터베이스도 해당 JVM 메모리에 포함해서 함께 실행할 수 있다. DB를 애플리케이션에 내장해서 함께 실행한다고 해서 임베디드 모드(Embedded mode)라 한다. 물론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임베디드 모드로 동작하는 H2 데이터베이스도 함께 종료되고, 데이터도 모두 사라진다. 쉽게 이야기해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바 메모리를 함께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처럼 동작하는 것이다. jdbc:h2:mem:db : 이 부분이 중요하다. 데이터소스를 만들때 이렇게만 적으면 임베디드 모드(메모리 모드)로 동작하는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DB_CLOSE_DELAY=-.. Tech/Spring 2023. 12. 18. SpringBootTest : @Transactional 스프링은 테스트 데이터 초기화를 위해 트랜잭션을 적용하고 롤백하는 방식을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하나로 깔끔하게 해결해준다. 다시 테스트를 실행해도 실패되지 않고 모두 성공한다 마치 롤백되는 것처럼!! @Transactional 원리 스프링이 제공하는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은 로직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커밋되도록 동작한다. 그런데 @Transactioanl 애노테이션을 테스트에서 사용하면 아주 특별하게 동작한다. 테스트에서는 스프링은 테스트를 트랜잭션 안에서 실행하고, 테스트가 끝나면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롤백시켜 버린다. @Transactional이 적용된 테스트 동작 방식 테스트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이 테스트 메서드나 클래스에 있으면 먼저 트랜잭션을 시작한.. Tech/Spring 2023. 12. 15. SpringBootTest : 데이터 롤백 테스트가 끝나고 나서 트랜잭션을 강제로 롤백해버리면 데이터가 깔끔하게 제거됨 테스트 순서 트랜잭션 시작 테스트 A 실행 트랜잭션 롤백 트랜잭션 시작 테스트 B 실행 트랜잭션 롤백 → @BeforeEach , @AfterEach 트랜잭션 관리자는 PlatformTransactionManager 를 주입 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참고로 스프링 부트는 자동으로 적절한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 @BeforeEach :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하기 직전에 호출된다. 따라서 여기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된다. 그러면 각각의 테스트를 트랜잭션 범위 안에서 실행할 수 있다.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 Tech/Spring 2023. 12. 1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