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늘은 이번주에 배웠던 알고리즘을 정리하고 모든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았다. 그리디, 구현, dfs(백트래킹), 다익스트라 총 4가지 과제가 나왔다. 몇개는 문제 유형을 추측해서 풀었지만 몇개는 보고 풀었다. 앞으로 문제 유형을 보지 않고 내가 추측해서 푸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겠다. 이제는 일주일이 빨리 지나간다. 내일 테스트 치고 나면 수요일부터 프로젝트 주차가 시작된다. 아직 주제를 확실히 고르지도 못했는데... 뭔가 실감이 안 난다. 코딩도 꽤나 오랜만이라 조금 설레기도 하고 새롭고 어려운 기술을 사용해보는 거라 좀 걱정이 되기도 한다. 그래도 잘 해낼 수 있(겠지...?)다! 어금니 꽉 깨물고 버텨보는거얍!
- 오늘 진행된 강의에서 학습한 내용은 무엇인가요?
4주차 정리
- 이번 주 진행된 팀 스터디에서 얻은 인사이트는 무엇인가요?
<기술 매니저님 피드백>
- 유형을 보고 문제를 풀어도 왜 이걸로 풀어야하는지 생각해보고, 다른 방법으로 풀 수 있는지도 생각해봐라
- 문제를 보고 문제 유형 파악하는 연습 해봐라
- 지금부터 해야할 것
- 너무 모르겠는 알고리즘 유형은 10문제 정도 풀면서 익숙해져라
- 나머지는 랜덤으로 꾸준히 풀어보기
- 프로젝트 기간 들어가도 꾸준히 해보기!
- 백준 중요 문제 검색, 백준 시험 모드 사용
- ** 알고리즘 최소 1일 1문제 (취약 파트: 구현, 이분탐색, 백트래킹 등)
- 개발자 인백 잘 관리하기!
- 은근 추천 채용이 빈번함
- 기술 블로그 -> 이 사람의 생각으로 작성했냐? 얼마나 자기 생각을 담았는지
- 블로그의 퀄리티를 보면 이 사람이 어떨지 가늠이 간다.
- 하나의 주제에 대해 10개의 키워드를 가지고 공부했다면?
- 10개를 다 기억하기 힘들다.
- 제대로 공부했으면 그걸 위주로 설명해 나가는 것
- 만약 그냥 외웠으면 아예 까먹기 쉽다.
- 물어보자마자 외운 티 나게 대답하고…
- 그런 티가 많이 안 나는 게 좋다.
- 장점을 하나가 정말 괜찮으면 다른 게 별로여도 뽑음
- 답변을 잘하는 부분으로 꼬리 질문 한다.
- 그때 어느정도 깊게 이해해서 공부했는지를 보여줘라
- ** 면접 질문에 대해 암기하지 말고 이해하면서 좀 더 가지치기 해서 공부하고 정리해보기!!
- 신기술 등등 다 해봐야하냐? 안 해도 된다!
- 한 번 찍먹까지는 괜찮은데 어차피 다 못한다.
- 핵심적인 부분, 기초적인 부분만 갖춰져 있으면 된다.
- 문제 발생 -> 성능 개선 이 순서로 가야하는데…
- 어떤 기술을 선택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 ** 성능테스트 % 개선
** 내가 앞으로 해야할 것
728x90
반응형
댓글